생활정보/경제,생활정책
복지용구 지원, 한도는? 중복은? 장기요양 가족이라면 꼭 알아야 할 정리
하이제이7
2025. 4. 16. 21:20
“복지용구요? 뭘 해준다는 건지 잘 모르겠어요.”
“전동침대, 보행기 지원된다는데, 어디서부터 신청하죠?”
장기요양등급을 막 받으신 어르신 가족들이 가장 많이 하는 질문입니다.
막상 신청하려고 하면
뭘 받을 수 있고, 얼마나 지원되는지, 어디서 받는지도 헷갈리기 마련이죠.
이번 글에서는 복지용구의 종류, 본인부담금, 연간 한도, 중복주의사항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 복지용구란?
장기요양등급을 받은 어르신이
일상생활을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용품입니다.
📌 주요 품목 | 사용 목적 |
전동침대, 보행기 | 거동 불편 완화 |
욕창방지매트 | 피부 압박 방지 |
목욕의자, 변기 | 위생·이동 보조 |
→ 모두 건강보험공단 등록 제품만 지원됩니다.
✅ 얼마까지 지원되나요?
- 연간 한도: 최대 160만 원 이내
- 본인부담금: 일반 대상자 기준 15% 부담
대상 | 본인부담률 |
일반 대상자 | 15% 부담 |
감경 대상자(차상위) | 6~9% |
기초생활수급자 | 0% 전액 지원 |
예시)
- 전동침대(110만 원) → 본인부담 약 16.5만 원
- 보행보조기(30만 원) → 본인부담 약 4.5만 원
✅ 품목별 종류 (2025년 기준)
- 전동침대 (대여)
- 욕창방지매트/방석 (대여)
- 보행기, 지팡이 (구입)
- 목욕의자, 이동변기, 안전손잡이 등
→ 일부는 대여 전용 / 일부는 구입 가능
→ 지급받은 품목은 1년 이내 재신청 불가
❗ 꼭 알아야 할 주의사항
✔ 전동침대 다시 신청 안 됩니다!
→ 동일 품목 중복지원 불가 (고장·분실도 예외 아님)
✔ 대여 vs 구입 구분 필수
→ 대여 품목은 계약기간 있음 (관리 책임 있음)
→ 구입 품목은 본인 소유
✔ 등급 확정 후에만 신청 가능
→ 등급 나오기 전에는 절대 지원 불가
→ 요양보호사·센터를 통해 접수하면 간편
✅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 복지용구 등록업체
- 방문요양센터 또는 주야간보호센터
- 국민건강보험공단 지사
필요 서류
- 장기요양인정서
-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
- 신분증 사본, 수급자 증명 등
👉 복지용구 종류 & 본인부담금 확인하기
🔗 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보험 바로가기
🔗 국민건강보험공단 장기요양보험 바로가기
함께 보면 좋은 글
👉 [노인장기요양보험 신청 조건과 등급별 혜택, 꼭 알아두세요]
👉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별 본인부담금 정리 — 감경 대상자까지 한눈에]
복지용구는 단순한 용품이 아니라,
어르신의 일상과 가족의 부담을 함께 돌보는 수단입니다.
놓치지 말고 꼭 챙겨보세요.
이 글은 일과 삶의 균형을 응원하는 똑스푼에서 전해드립니다.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하트(공감) 꾹! 공유도 함께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