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정보/부동산,세금

증여세 세율표와 계산법 한눈에 정리 (2025년 기준)

하이제이7 2025. 3. 29. 01:06

증여세는 얼마나 낼까요? 증여금액별 세율표와 계산 공식, 공제 기준까지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실제 사례로 쉽게 이해해보세요.


가족들과 증여세를 계산하는 사람의 일러스트

📌 증여세, 얼마나 낼지 궁금하셨나요?

부모가 자녀에게 금전이나 재산을 줄 때 발생하는 증여세.
하지만 얼마부터 세금을 내는지, 어떻게 계산되는지
생각보다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증여세 세율표와 함께,
실제 계산 예시까지 차근차근 설명드릴게요.

 

 

💡 증여세는 언제 내나요?

누군가에게 재산을 무상으로 받았다면 증여세 납부 대상입니다.
특히 가족 간 증여(부모→자녀, 조부모→손자 등)가 많기 때문에,
이 부분은 세무조사가 집중되기 쉽습니다.

 

 

📊 2025년 증여세 세율표

과세표준(증여금액 - 공제액)에 따라 누진 세율이 적용됩니다.

 

과세표준(만원) 세율 누진공제(만원)
1억 이하 10% 0
5억 이하 20% 1천
10억 이하 30% 6천
30억 이하 40% 1억6천
30억 초과 50% 4억6천

※ 과세표준 = 증여금액 - 증여공제액

 

🎁 누가 얼마까지 공제받을 수 있을까?

증여자 - 수증자 관계증여공제 한도

 

증여자-수증자 관계 증여공제한도
부모 → 자녀 (성인) 5천만 원
부모 → 자녀 (미성년) 2천만 원
배우자 간 6억 원
기타 친족 1천만 원

 

 

🧮 실제 계산 예시

📌 부모가 성인 자녀에게 1억 원 증여한 경우

  1. 증여공제 적용:
    1억 - 5천만 원 = 5천만 원 (과세표준)
  2. 세율 적용:
    5천만 원 × 10% = 5백만 원 (누진공제 없음)

👉 이 경우 자녀는 5백만 원의 증여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 증여세 신고는 언제까지 해야 하나요?

  • 증여받은 달의 말일 기준으로 3개월 이내
    (예: 3월 10일에 증여 → 6월 30일까지 신고)
  • 홈택스나 세무서를 통해 가능
  • 신고하지 않으면 가산세 + 세무조사 위험이 큽니다.

 

🔍 꿀팁! 세금 줄이는 방법은?

  • 분산 증여: 한 번에 몰아주는 것보다 나눠주는 것이 유리
  • 10년 주기 공제 활용: 같은 사람에게 10년 내 증여 총액 기준으로 공제 적용
  • 가족 간의 계약서 작성: 사후 조사에 대비해 근거 자료 확보

 

✔️ 꼭 기억하세요

  • 10년 단위로 공제액이 초기화됩니다.
  • 증여세는 수증자가 신고·납부 의무자입니다.
  • 신고를 하지 않으면 가산세 최대 40%까지 붙을 수 있어요.

 

요즘은 가족 간 금전 이동도 꼼꼼히 들여다보는 시대입니다.
알고 나면 복잡하지 않은 증여세 계산,
미리미리 체크해서 불이익 없이 잘 준비해보세요!


 

 

 

 

'증여세'관련 글 리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