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별 본인부담금이 얼마나 될까요? 2025년 기준으로 등급에 따른 비용, 감경 대상자, 실제 부담액까지 정리했습니다.
부모님이 장기요양 등급을 받으셨다는 소식을 들었지만,
“이제 비용은 얼마나 나올까?”
“얼마나 지원이 되고, 내가 얼마나 부담해야 하지?”
궁금하셨다면 꼭 읽어보세요.
오늘은
2025년 기준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별 본인부담금과 감경 대상을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장기요양보험 서비스 유형
등급에 따라 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다양하지만,
크게 나눠 보면 아래 3가지입니다.
- 재가급여 (집에서 받는 요양)
- 방문요양, 방문목욕, 주야간보호 등
- 시설급여
- 요양원 등 장기입소형 시설 이용
- 복지용구 지원
- 침대, 보행기, 욕창방지매트 등
→ 본인부담금은 이 급여 종류와 등급에 따라 달라집니다.
💰 등급별 본인부담금 기본 구조
구분 | 일반 대상자 | 감경 대상자 | 기초생활수급자 |
재가급여 | 15% 부담 | 6%~9% 부담 | 0% 전액 지원 |
시설급여 | 20% 부담 | 8%~10% 부담 | 일부 비급여 제외하고 0% |
복지용구 | 연 최대 160만 원 한도 내 15% 부담 | 동일 기준에서 감경 | 기초수급자 전액 지원 |
※ 감경 대상자는 소득·재산 기준에 따라 자동 감경 또는 신청 감경 가능
📅 2025년 기준 월 급여 한도액 (재가급여 기준)
등급 | 월한도액 | 15%본인부담금 |
1등급 | 1,672,300원 | 약 250,800원 |
2등급 | 1,486,600원 | 약 222,990원 |
3등급 | 1,343,900원 | 약 201,580원 |
4등급 | 1,197,400원 | 약 179,610원 |
5등급 | 1,054,800원 | 약 158,220원 |
인지지원등급 | 634,100원 | 약 95,115원 |
→ 본인부담금은 실제 사용한 서비스 비용 기준으로 계산되며,
월 한도 내에서는 이 금액보다 적게 나올 수도 있습니다.
🧾 실제 부담 예시
💡 예) 3등급 어르신이 방문요양을 주 5회 이용할 경우
- 월 급여액: 약 120만 원 사용
- 일반 대상자: 120만 원 × 15% = 약 18만 원 부담
- 감경 대상자(차상위): 약 7.2% 부담 → 약 86,400원 부담
- 기초생활수급자: 0원
👵 감경 대상자 조건은?
✔ 차상위 계층 (의료급여 2종, 한부모가정 등)
✔ 건강보험료 납입 기준 이하의 저소득층
→ 감경율은 6% ~ 9% 수준으로, 자동 적용되기도 하고
건강보험공단에 신청해야 적용되기도 합니다.
❗ 주의할 점
- 복지용구는 중복 지원 안 됨 → 동일 품목 재지급 불가
- 등급별 급여 한도 초과 시, 초과분은 전액 본인부담
- 시설급여는 **비급여 항목(식비, 간식, 이불 등)**이 별도로 청구됨
정리하자면
노인장기요양보험은
등급과 소득 조건에 따라 실제 부담금이 크게 달라집니다.
"등급만 받으면 다 무료겠지?"라고 생각하셨다면,
이제는 어떤 서비스에서 얼마나 지원되고,
어떤 경우에 감경받을 수 있는지를 체크해보셔야 해요.
필요하면 공단에 감경 신청도 꼭 해보세요.
어르신을 위한 작은 차이가 가족 전체의 부담을 덜어줄 수 있습니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연금과 노령연금의 차이점 (0) | 2025.04.01 |
---|---|
기초연금 수급자격 확인 – 2025년 기준 요약 (0) | 2025.03.31 |
고교학점제, 무엇이 달라질까? 쉽게 이해하는 핵심 정리 (0) | 2025.03.19 |
건강보험료 줄이는 법, 몰라서 손해 보는 사람 많다! (1) | 2025.03.19 |
퇴직금 계산법: 내 퇴직금은 얼마나 될까?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