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명예훼손이나 모욕죄로 고소를 당했다면 당황하지 말고 정확히 대응해야 합니다. 경찰 조사부터 합의, 형사처벌 회피 방법까지 구체적인 대응법을 정리했습니다.
“그냥 댓글 쓴 건데, 고소당했다고요?”
요즘은 생각보다 쉽게 사이버 명예훼손이나 모욕죄로 고소당하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실제로 경찰서에서 연락을 받으면 당황하게 되지만,
이럴수록 차분하게 절차를 알고 대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명예훼손·모욕죄 고소당했을 때 실질적인 대응법을
경찰 조사 전 준비사항부터 합의, 벌금 피하는 전략까지 정리해드립니다.
🔎 1. 고소당하면 어떤 절차로 진행되나요?
- 피해자 고소 접수 →
- 경찰서 조사 (피의자 신분 출석 통지서 발송) →
- 피의자 조사 진행 →
- 검찰 송치 여부 판단 →
- 약식기소 / 정식기소 / 무혐의 / 기소유예 등 결정
💡 출석 통지서가 날아오면 본인은 피의자 신분입니다.
절대 무시하지 마세요. 기한 내 출석하지 않으면 강제조사로 이어질 수 있어요.
📌 2. 경찰 조사 전에 해야 할 3가지 준비
① 문제가 된 글, 댓글, 게시물 확인 및 삭제
→ 스스로 삭제하면 반성의 태도로 인정될 수 있음
② 상대방이 누구인지, 왜 고소했는지 배경 파악
→ 지인 간 분쟁인지, 불특정 다수 대상인지에 따라 대응 다름
③ 법률전문가 상담 or 무료 법률구조기관 문의
→ 조사 대응 방향을 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3. 조사 당일, 경찰서에서 어떻게 진술해야 할까?
- 감정적 반응 ❌, 일관된 진술 ✅
- “실수였다”, “그럴 의도는 아니었다” 등 의도 부재 강조
- 게시물을 캡처했더라도 비공개 전환 or 삭제했다면 말해두기
- 반성문 지참하면 태도 개선 효과 있음
💡 “사실 여부”보다 “왜 그렇게 말하게 되었는지 맥락”이 매우 중요합니다.
🤝 4. 합의는 꼭 해야 할까? 합의 없이 처벌받나?
- 모욕죄는 감정적인 문제로 시작되기에 합의 시 무혐의 또는 기소유예 가능성 높음
- 사이버 명예훼손은 내용과 유포 범위에 따라 합의 없이도 기소될 수 있음
🎯 합의 시 유리한 자료
- 사과문 또는 반성문
- 내용증명 또는 사과 메시지 캡처
- 자필 사과 편지
- 향후 재발 방지 약속 (합의서에 포함)
💰 5. 합의금, 어느 정도 예상해야 할까?
- 모욕죄: 수십만 원~100만 원 선
- 사이버 명예훼손: 수백만 원대도 가능 (허위사실이면 더 높음)
※ 단, 피해자 태도나 사회적 지위에 따라 천차만별
📄 6. 합의서 작성 시 주의사항
- 합의 대상, 일시, 장소, 금액 명시
- 향후 민·형사상 이의 제기 금지
- 피고소인에게 불리한 조항은 삭제 요청
- 꼭 양측 서명 + 날짜 포함할 것
✅ 7. 벌금형 피할 수 있는 방법은?
- 합의서 제출 + 반성문 작성
- 초범 + 사소한 표현 + 반성 태도 → 기소유예 처리 가능
- 사회봉사 명령 등으로 대체 가능성도 있음
- 정식 재판을 원할 경우, 약식기소 불복 → 벌금 줄이기도 가능
📝 마무리 Tip
사이버 명예훼손이나 모욕죄로 고소당했을 때
가장 중요한 건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는 것입니다.
초기부터 삭제, 사과, 반성 태도를 명확히 보이면
실제 처벌까지 가지 않고 기소유예나 벌금 감경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혼자 해결하기 어렵다면
대한법률구조공단, 청년법률상담센터 등 무료 기관도 적극 활용해보세요.
'생활정보 > 생활법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교폭력 대응법 – 신고 절차부터 증거 수집, 피해자 보호까지 총정리 (0) | 2025.04.05 |
---|---|
학교폭력 종류와 사이버폭력 사례, 가해자 처분 수위까지 정리 (0) | 2025.04.05 |
사이버 명예훼손 처벌 수위와 합의금, 모욕죄와의 차이까지 한눈에 정리 (0) | 2025.04.05 |
빈집 방치하면 과태료 낼 수도 있습니다 – 빈집특례법 정리 (0) | 2025.04.03 |
온라인 사기 당했을 때, 환불받을 수 있을까? — 대응 방법 총정리 (1)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