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생활법률

사이버 명예훼손 처벌 수위와 합의금, 모욕죄와의 차이까지 한눈에 정리

by 하이제이7 2025. 4. 5.

사이버 명예훼손은 형사처벌 대상이 될 수 있는 범죄입니다. 처벌 수위와 공소시효, 합의금, 실제 사례와 함께 모욕죄와의 차이까지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사이버명예훼손,모욕죄에 관련된 이미지

요즘은 댓글, SNS, 온라인 커뮤니티 등에서
누군가를 비방하거나 모욕하는 글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한 감정 표현이라 생각했던 말이
형사처벌 대상이 되는 사이버 명예훼손일 수도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 사이버 명예훼손의 정의
✅ 처벌 수위 및 공소시효
✅ 합의금 기준
✅ 명예훼손과 모욕죄의 차이
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


🔍 사이버 명예훼손이란?

사이버 명예훼손은 정보통신망(인터넷, SNS, 블로그, 카페 등)을 통해
사실 또는 허위 사실을 유포하여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행위
를 말합니다.

  • 단순 의견이나 사실 전달이라도 상대방의 사회적 평가를 떨어뜨리면 범죄가 됩니다.
  • 진실한 사실이어도 명예를 훼손했다면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 사이버 명예훼손 처벌 수위


구분 처벌기준
사실 적시 명예훼손 (형법) 2년 이하 징역 또는 500만 원 이하 벌금
허위 사실 명예훼손 (형법) 5년 이하 징역 또는 1,000만 원 이하 벌금
사이버 명예훼손 (정보통신망법) 3년 이하 징역 또는 3,000만 원 이하 벌금
사이버 허위 사실 명예훼손 7년 이하 징역 또는 5,000만 원 이하 벌금

💡 정보통신망을 통한 명예훼손은 형법보다 더 무겁게 처벌됩니다.


📅 사이버 명예훼손 공소시효

  • 명예훼손죄: 3년
  • 모욕죄: 1년

모두 친고죄에 해당되며, 피해자가 고소해야 수사가 진행됩니다.


💰 사이버 명예훼손 합의금 기준

합의금은 정해진 기준이 없지만,
다음 요소에 따라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유포된 게시글의 수, 노출 범위
  • 피해자의 사회적 위치, 명예 훼손 정도
  • 가해자의 반성 및 사과 여부

👉 보통 100만 원~수백만 원, 심각한 경우 수천만 원대 합의금이 오가기도 합니다.


⚠️ 명예훼손과 모욕죄의 차이

두 죄는 비슷해 보이지만 적용 기준과 처벌 수위가 다릅니다.


구분 명예훼손죄 모욕죄
내용 사실 또는 허위 사실 유포 욕설·비하 등 추상적 표현
예시 "저 사람 사기 전과자야" "저런 놈은 사회 악이야"
공소시효 3년 1년
처벌 수위 최대 7년 징역 1년 이하 징역 또는 200만 원 이하 벌금

💡 명예훼손은 정보 중심, 모욕은 감정 표현 중심으로 판단됩니다.


📚 사이버 명예훼손 실제 사례

  1. 사실 기반의 비방글
    → 전 회사 직원이 블로그에 '사실'을 기반으로 내부 고발 글 작성
    → 명예훼손죄 성립, 징역형 집행유예 판결
  2. SNS 악플
    → 특정 연예인을 지속적으로 욕설한 경우
    → 모욕죄 및 사이버 명예훼손 동시 적용
  3. 허위 게시글 작성 후 사과
    → 허위 사실 유포로 고소 당했으나,
    → 초반 진심 어린 사과와 삭제 조치로 합의금 150만 원 선에서 마무리

🛠 피해 시 대응 방법

  • 캡처, URL, 게시 시각 등 증거 확보
  • 커뮤니티나 SNS에 삭제 요청
  • 내용증명 발송 후 합의 시도
  • 고소 진행 시 경찰서 사이버수사팀 or 법률전문가 상담

마무리 Tip

사이버 명예훼손이나 모욕은 단순한 ‘말싸움’이 아닌
형사처벌이 가능한 범죄입니다.

온라인상 글이나 댓글 하나가 처벌, 합의금, 전과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더욱 신중한 표현이 필요하고,
피해를 입었다면 빠르고 정확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