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아이와의 대화, 마음이 닿는 말 ③감정을 인정받은 아이는, 더 이상 울지 않습니다

by 하이제이7 2025. 3. 24.

아이와의 대화, 마음이 닿는 말 ③

감정을 인정받은 아이는, 더 이상 울지 않습니다

 

아이들이 울거나 소리를 지를 때
우리는 본능적으로 이렇게 말하곤 합니다.

“그 정도로 화낼 일은 아니잖아.”
“그건 기분 나쁠 일이 아니야.”
“왜 그렇게 예민하게 구니?”

하지만 이 말들은
아이에게 “네 감정은 틀렸다”는 신호가 됩니다.

오늘은 『감정을 인정하는 말』이
왜 아이의 마음을 지켜주는 가장 강한 대화법인지,
함께 이야기해볼게요.

아이머리를 쓰다듬어 주는 엄마 이미지


💡 감정을 인정한다는 건, 판단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아이의 감정은 어른의 기준으로 보면
작고 사소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하지만 아이는 그 순간,
세상의 전부처럼 느끼고 있습니다.

❌ “그게 뭐 대수야”
→ 아이에게 “넌 오바하는 거야”로 들릴 수 있어요.

✅ 대신 이렇게 말해보세요:

  • “정말 속상했겠구나.”
  • “그럴 수 있어. 엄마라도 화났을 거야.”
  • “마음이 많이 놀랐구나.”

해결보다 먼저 공감.
이 한 마디가 아이의 감정을 편안하게 해줘요.


⚖️ 감정을 억누르는 아이 vs 감정을 이해받는 아이

감정을 인정받지 못한 아이는
결국 두 가지 중 하나로 변합니다:

감정을 억누르는 아이와 폭발하는 아이의 설명표

 

➡️ 이 모든 시작은
“감정을 말할 수 없었다는 경험” 때문이에요.


🗣 감정을 있는 그대로 말로 담아주세요

아이에게 감정을 가르치는 가장 좋은 방법은
감정을 말로 표현해주는 부모의 태도입니다.

💬 예시:

  • “지금 마음이 실망스러운 거지?”
  • “화가 나서 몸도 덜덜 떨리겠네.”
  • “혼자 있고 싶다는 느낌이었구나.”

📌 이것은 단순한 공감이 아니라,
‘감정을 말해도 되는 사람’이 있다는 경험을 줍니다.


💬 이렇게 말해보세요

  • ❌ “그건 기분 나쁠 일이 아니야”
    ✅ “그런 일이 있으면 기분이 많이 나쁠 수도 있지”
  • ❌ “울지 마”
    ✅ “마음이 많이 아팠구나. 괜찮아, 울어도 돼”
  • ❌ “그런 일로 짜증 내지 마”
    ✅ “짜증 나는 건 이해돼. 그런 상황이면 누구라도 힘들었을 거야”

🌱 감정 인정은 아이 자존감의 바탕이 됩니다

감정을 인정받는 아이는
✔ 자신의 감정을 숨기지 않고
✔ 타인의 감정에도 민감하며
✔ “내 감정이 틀리지 않았다”는 내면의 안정감을 가집니다.

🌟 이게 바로 자존감의 뿌리입니다.


🧡 마무리 한마디

아이의 감정에 귀 기울이는 건
부모가 줄 수 있는 가장 따뜻한 선물입니다.

“왜 저래?”가 아니라
“그럴 수 있겠다.”라는 시선으로 바라볼 때,
아이도 “나를 믿어주는 사람이 있다”는 확신을 갖게 됩니다.

그 믿음이 결국
세상 앞에 서는 힘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