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법률정보

양도소득세란? 기본 개념과 계산 대상

by 하이제이7 2025. 4. 2.

양도소득세는 언제, 어떤 경우에 발생할까요? 부동산·주식 외에도 과세 대상이 되는 자산과 기본 개념을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양도세에 대해 고민하는 남성 일러스트

💡 양도소득세, 왜 내야 할까?

내가 갖고 있던 재산을 팔아서 **차익(이익)**이 생겼을 때,
국가는 여기에 세금을 부과합니다.
이때 부과되는 세금이 바로 **양도소득세(양도세)**입니다.

쉽게 말해,

👉 “팔아서 이득을 봤으면, 그 이득의 일부를 세금으로 내라”는 개념이죠.

하지만 양도세는 모든 재산 거래에 부과되는 것이 아니며,
정해진 대상과 기준이 있습니다.

📌 양도소득세 = 양도차익 × 세율


📊 양도세가 부과되는 대표적인 경우

1. 부동산 매매

  • 아파트, 단독주택, 토지, 상가 등
  • 1세대 2주택 이상인 경우 과세 대상 (비과세 요건 예외 있음)

2. 분양권·입주권 양도

  • 실입주 전 단계에서 되파는 경우
  • 보유기간과 지역 따라 과세 여부 다름

3. 비상장 주식 양도

  • 상장되지 않은 주식을 팔아 이익을 얻은 경우
  • 일정 금액 이상 거래 시 양도세 대상

4. 기타 자산

  • 골동품, 회원권, 특허권, 영업권 등도 포함
  • 단, 자동차나 일상 소비재는 해당 없음

📌 양도세 계산 공식 (기본 구조)

양도차익 계산

양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 = 양도차익

 

과세표준 계산

양도차익 – 장기보유특별공제 = 과세표준

 

세금 계산

과세표준 × 세율 = 납부할 세금

※ 세율은 보유기간, 자산 종류, 1세대 1주택 여부 등에 따라 달라짐
→ 주택 1채만 2년 이상 보유했다면 비과세 가능성 있음


❓ 자주 묻는 질문

🟡 Q. 집을 팔면 무조건 세금 내나요?
→ 아니요. 1세대 1주택으로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비과세입니다.
→ 다주택자이거나 단기 보유 시에는 과세 대상이 됩니다.

 

🟢 Q. 부모에게 증여한 재산도 양도세 대상인가요?
→ **증여는 양도가 아닌 ‘무상이전’**이므로 양도세가 아니라 증여세 대상입니다.

 

🟠 Q. 주식 매도도 양도세 대상인가요?
비상장 주식 또는 대주주만 해당하며, 일반 소액 투자자는 비과세 대상이 많습니다.


📌 양도세 대상 자산 요약표

 

자산유형 양도세대상여부
아파트/주택 ✔ (비과세 요건 제외 시)
토지/상가
분양권
비상장주식
자동차/일반물품
상장주식(소액)
증여/상속 ❌ (증여세/상속세로 분리 과세)

🧷 정리하며

양도소득세는 단순히 부동산을 팔 때만 내는 세금이 아닙니다.
자산을 팔아서 이익을 얻은 거의 모든 경우에 적용될 수 있어요.

복잡해 보이지만,
기본 개념과 과세 대상을 정확히 알면
예상치 못한 세금 폭탄을 피할 수 있습니다.

앞으로 하나씩, 양도세 관련 필수 개념들을 쉽게 풀어드릴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