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법률정보

저작권법 위반, 실제로 어떤 사례가 처벌됐을까?

by 하이제이7 2025. 3. 30.

저작권 침해로 처벌된 실제 사례들을 통해 위반 기준과 대응 방향을 확인해보세요. 유튜브, 블로그, 쇼핑몰 등 다양한 상황에서의 판단 기준을 쉽게 정리했습니다.


📌 “이 정도는 다들 쓰지 않나요?”
📌 “진짜 이걸로도 처벌된 사례가 있나요?”

막상 저작권법 위반이라고 연락을 받으면,
“어느 정도가 처벌 대상인지” 감이 잘 안 올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실제 처벌된 사례들을 중심으로
기준과 판단 흐름을 정리해드립니다.

 


저작권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남성의 모습 이미지

📁 1. 유튜브 영상에 무단으로 유료 배경음악 사용

  • 사례: 영상에 유명 유료 BGM 삽입, 자막에 유료폰트 사용
  • 상황: 고소장 없이 수사 착수, 벌금 약 100만 원
  • 핵심: 반복 사용 + 광고 수익 발생 → 영리 목적 판단 → 비친고죄 적용

수익 발생 여부 + 반복성이 핵심 판단 기준


🛍️ 2. 쇼핑몰 이미지 제작 시 정품 라이선스 없는 폰트 사용

  • 사례: 상품 소개 이미지에 유료 글꼴 사용
  • 상황: 법무법인에서 합의금 청구, 일부는 민사소송 진행
  • 판단: 상업적 목적 + 저작권 표시 누락 → 손해배상 판결

✅ 블로그나 SNS에서도 상업용 홍보 목적이 명확하면 동일하게 판단될 수 있음


🖼️ 3. 블로그에 인터넷 이미지 무단 업로드

  • 사례: 블로그 포스트에 작가 일러스트 무단 첨부
  • 상황: 저작권자가 삭제 요청만 하고 고소는 안 함
  • 결과: 고소 없고 비영리 목적 → 형사처벌 없음

출처 표기 유무와 고의성 여부, 상업성 여부가 핵심


🎵 4. 카페 운영자가 웹툰·소설·음악 파일 공유

  • 사례: 회원들끼리 공유하던 웹툰 ZIP파일 링크 게시
  • 상황: 고소 없이도 수사 → 비친고죄 적용
  • 결과: 운영자에 대해 수사 후 기소유예, 반복자는 벌금형

불특정 다수에게 유포, 반복적 공유는 처벌 가능성 매우 높음


✍️ 5. 교회/단체 홈페이지에 무단 이미지 사용

  • 사례: 교회 홈페이지·유튜브 썸네일에 작가 그림 13점 사용
  • 상황: 8천만 원 청구 → 법원은 500만 원만 인정
  • 핵심: 상업성은 낮지만, 사용 범위가 광범위했음

이용 범위와 사용량이 많으면, 비영리라도 손해배상 높게 인정 가능


📌 요약 정리

사례유형 상업성 반복성 처벌/합의 가능성
유튜브 BGM 무단사용 있음 있음 고소 없이도 수사
쇼핑몰 폰트 무단사용 있음 보통 합의금 청구 → 민사소송
블로그 이미지 무단게재 없음 낮음 고소 없으면 종결 가능성↑
카페 웹툰 공유 없음 있음 수사 개시 가능
단체 홈페이지 이미지 사용 없음 많음 손해배상 책임 인정

🔎 결국 기준은?

  • ✔️ 단순 실수여도 반복성영리성이 있으면 위험
  • ✔️ 고소가 없어도 처벌될 수 있음 (비친고죄 조건 충족 시)
  • ✔️ 합의 요구 시에는 이용료 기준 손해액인지 판단 필요

누구나 쉽게 이미지를 퍼다 쓰고, 음악을 넣을 수 있는 시대이지만
이제는 콘텐츠 제작자도 저작권 리스크에 대한 기준을 제대로 알아야 합니다.

📌 막연히 “이 정도는 괜찮겠지”가 아니라,
실제 사례를 기준으로 판단하고, 필요한 경우 즉시 대응하는 태도
더 큰 문제를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