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기초연금 재산기준 2025년 변경 내용

by 하이제이7 2025. 4. 1.

2025년부터 달라지는 기초연금 재산기준, 단독가구와 부부가구 기준 금액과 완화된 공제 항목까지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매년 달라지는 기초연금 재산기준

기초연금은 만 65세 이상의 어르신 중
소득인정액이 일정 기준 이하인 분에게 지급되는 복지제도입니다.

이때 지급 여부를 판단할 때 핵심이 되는 것이 바로 **‘재산기준’**인데요,
2025년에는 이 재산기준이 다소 완화되어 수급 대상이 늘어날 가능성이 높아졌습니다.

올해 기준이 어떻게 바뀌었는지,
단독가구와 부부가구의 차이, 공제 항목까지 함께 정리해볼게요.

 


기초연금재산기준표를 보고 계산을 하고 있는 할아버지 일러스트

📌 2025년 소득인정액 기준표


구분 2024년 2025년
단독가구 202만 원 이하 206만 원 이하
부부가구 323만 2천 원 이하 329만 6천 원 이하

※ 소득인정액 = 실제 소득 + 재산의 소득환산액 – 각종 공제액

즉, ‘소득 + 재산을 환산한 총합’이 기준 금액 이하인 경우에만 수급 가능합니다.

 

 

💰 재산 기준 계산 방식은?

재산을 단순히 합산하는 것이 아니라,
‘소득환산율’을 적용해 매월 소득으로 환산한 뒤 소득과 합산합니다.

✔ 재산의 소득환산 방식 (2025년 기준 동일)

(재산 – 기본공제) × 4% ÷ 12개월 = 월 소득환산액

 

예시) 서울에 사는 단독가구 어르신이
재산 1억 원 – 기본공제 9,000만 원 = 1,000만 원이라면,
1,000만 × 4% ÷ 12 = 월 3만 3천 원의 소득으로 간주

 

 

🏠 2025년 기본공제액

  • 대도시 거주자: 9,000만 원
  • 중소도시: 6,800만 원
  • 농어촌 지역: 5,200만 원

따라서 서울이나 광역시에 거주하는 분은
재산 9,000만 원까지는 소득으로 보지 않기 때문에 유리합니다.

 

 

🧾 공제 항목, 꼭 챙기세요!

다음 항목들은 소득인정액 산정 시 공제받을 수 있어 수급에 유리합니다.

✔ 부채 (금융기관 채무, 임대보증금 등)
✔ 임차보증금
✔ 자동차 일부
✔ 장기요양급여 비용
✔ 장애인특별공제, 간병비 등

※ 단, 모든 공제는 서류 제출이 필요하며,
임의 공제는 되지 않으므로 꼼꼼한 확인이 필수입니다.


📌 주의할 점

❗ 국민연금을 수령하고 있더라도,
그 금액이 소득인정액을 초과하면 기초연금이 감액 또는 탈락될 수 있습니다.

❗ 2025년에는 일부 금융상품(예: 보장성 보험 해약환급금 등)이
재산으로 간주되지 않는 방식으로 정비될 예정이니 꼭 최신 정보를 확인해주세요.


 

🧷 정리하며

기초연금은 누구나 신청만 하면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아닙니다.
정확한 소득인정액 계산공제 항목 확인이 핵심이에요.

매년 조금씩 바뀌는 기준이지만,
조금의 변화로도 수급 가능 여부가 달라질 수 있으니,
이번 기회에 조건을 다시 한 번 점검해보는 것도 좋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