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 본인부담금

by 하이제이7 2025. 4. 1.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를 신청하면 어느 정도의 본인부담금이 발생할까요? 2025년 기준에 따라 소득 수준별 부담금과 감면 제도를 정리해드립니다.

 


장애인이 활동지원금을 계산해보며 걱정하고 있는 이미지

🧾 활동지원서비스, 얼마나 부담해야 할까?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는 혼자 일상생활이 어려운 장애인에게
국가가 도우미를 지원해주는 제도입니다.

하지만 무료는 아니며, 이용자 본인의 소득 수준에 따라 일정 금액을 부담해야 합니다.
이를 ‘본인부담금’이라고 해요.

그렇다면, 2025년 현재 본인부담금은 어떻게 책정될까요?

 

 

📌 본인부담금 산정 기준

본인부담금은 다음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1️⃣ 서비스 급여량 (몇 시간 이용하는지)
2️⃣ 소득 수준 (건강보험료 납부액 기준)
3️⃣ 면제 또는 경감 대상 여부

✔ 건강보험료는 **‘소득 판정 기준’**으로 사용
→ 본인부담금은 건강보험료 금액별 등급표에 따라 차등 부과

 

예) 활동지원 월 120시간 사용 시,
· 건강보험 지역가입자 월 5만 원대 → 본인부담 약 15,000원
· 고소득자는 최대 200,000원까지도 가능

 

💡 본인부담금 예시 (2025년 기준, 평균)

건강보험료 수준 월 본인부담금
하위 20% 면제 또는 약 1만~2만 원
중위권 (50%) 약 4만~6만 원
상위 80% 이상 최대 20만 원 내외

※ 단, 급여량이 많을수록 본인부담금도 함께 올라갑니다.

 

 

🙋‍♀️ 감면 대상도 있어요!

다음에 해당하는 분들은 본인부담금 전액 면제 또는 경감 가능합니다.

✔ 기초생활수급자
✔ 차상위계층
✔ 등록장애인 중 소득 낮은 자
✔ 중증장애인 중 국가유공자
✔ 독거노인 또는 보호자 없는 장애인
✔ 긴급돌봄 대상자

※ 해당 여부는 주민센터나 복지로에서 상담 가능


💬 자주 묻는 질문

🟠 Q. 활동시간이 늘어나면 무조건 부담금도 늘어나나요?
→ 네. 급여량이 많아질수록 총액 기준이 올라가 부담금도 함께 증가합니다.

🟡 Q. 본인부담금은 매달 고정인가요?
→ 아닙니다. 급여량과 건강보험료가 달라지면 본인부담금도 달라질 수 있어요.

🟢 Q. 가구 소득이 높아도 활동시간이 적으면 부담금이 낮을 수 있나요?
→ 네. 이용 시간에 따라 본인부담금은 유동적입니다.


🧷 정리하며

장애인 활동지원서비스는 꼭 필요한 돌봄을 제공받을 수 있는 중요한 제도이지만,
본인부담금이 생길 수 있다는 점에서 사전 확인이 꼭 필요합니다.

혹시 부담금이 걱정되신다면,
소득 수준에 따른 감면 기준을 확인해보고
복지로(www.bokjiro.go.kr)나 주소지 주민센터 상담을 꼭 받아보세요.

복지제도는 아는 만큼 받을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