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법률정보

이사하고 전입신고 안 하면 생기는 불이익 | 확정일자·보증금·세입자 보호까지 정리

by 하이제이7 2025. 3. 23.

📌 전입신고는 단순한 행정 절차가 아닙니다.
전입신고를 하지 않으면 확정일자와 임차권 보호가 어려워지고,
전세보증금도 돌려받지 못할 수 있습니다.


3~4월은 이사철입니다.
그런데 막상 이사하고도 전입신고를 깜빡하거나,
“좀 있다가 하자”는 생각으로 미루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전입신고는 단순한 주소 변경 절차가 아닙니다.
세입자 권리 보호와 직결되는 매우 중요한 절차예요.

전입신고고민하는 여성

 

 

📌 전입신고는 세입자의 권리를 지켜주는 첫 번째 조치

전입신고는 단순한 주소 등록이 아니라
세입자에게 ‘주택 점유 중’이라는 사실을 법적으로 증명해주는 공적 기록입니다.

✔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아야
→ 나중에 집이 경매에 넘어가더라도 보증금을 우선 변제받을 수 있어요.


❗ 전입신고를 하지 않으면 어떤 일이 생기나요?

  • 집주인이 집을 담보로 대출을 받고,
  • 대출금을 갚지 못해 경매로 넘어갔을 때
    📌 전입신고를 안 한 세입자는 보증금 우선순위에서 밀립니다.

즉, 아무리 계약서를 썼어도
전입신고가 안 되어 있으면
“선순위 임차인”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 보증금 일부 또는 전액을 돌려받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 확정일자도 함께 받아야 진짜 보호된다

전입신고만 하면 끝일까요?
아니요. 꼭 함께 해야 하는 것이 바로 확정일자 받기입니다.

✔ 확정일자는 보통 동사무소(행정복지센터)에서 계약서를 보여주고 도장을 받으면 끝!
✔ 세입자 보호법상 확정일자 + 전입신고가 있어야
→ 경매 시에도 보증금을 우선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Q&A

Q. 전입신고를 늦게 하면 어떻게 되나요?
A. 늦게 한 만큼 우선순위가 밀릴 수 있습니다.
→ 보증금 반환 우선순위는 “전입신고일 + 확정일자 기준”으로 정해집니다.


Q. 전입신고는 언제까지 해야 하나요?
A. 이사 후 14일 이내에 전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 미신고 시 과태료(최대 5만 원)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Q. 인터넷으로도 전입신고 가능한가요?
A. 네. 정부24(www.gov.kr) 홈페이지에서
공동인증서로 본인 인증 후 신청 가능합니다.


🔗 관련 참고자료

📎 정부24 전입신고 안내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PTR000050203)

📎 주택임대차보호법 제3조
(https://www.law.go.kr/법령/주택임대차보호법/제3조)


✅ 요약 정리

  • 전입신고는 단순 행정 절차가 아닌, 세입자 권리 보호 수단
  • 확정일자와 함께 해야 보증금 보호 및 우선 변제권 확보
  • 전입신고 누락 시, 보증금 일부를 못 돌려받을 수 있음
  • 꼭 이사 후 14일 이내에 신청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