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법률정보

고소 없어도 처벌될 수 있나요? 저작권 침해의 ‘비친고죄’ 적용 사례

by 하이제이7 2025. 3. 30.

저작권 침해는 고소가 있어야만 처벌될까요? 실제로는 고소 없이도 수사·처벌된 사례가 있습니다. 비친고죄로 분류되는 조건과 대표 판례를 쉽게 정리해드립니다.


📌 “고소 없으면 처벌 안 되는 거 아닌가요?”
📌 “블로그에 이미지 올렸을 뿐인데, 경찰에서 조사받으라고 합니다.”

저작권 침해는 원칙적으로 ‘친고죄’, 즉 고소가 있어야 처벌이 가능한 범죄로 알려져 있죠.
하지만 모든 경우에 해당하는 건 아닙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소 없이도 수사와 처벌이 가능했던 실제 사례들을 통해,
‘비친고죄’로 전환되는 기준을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


컨텐츠를 만들며 고민하는 남성의 이미지

⚖️ 비친고죄로 처벌된 실제 사례들

사례 ① 유튜브에서 반복된 유료 BGM 무단 사용

  • B씨는 자신의 유튜브 영상 수십 개에 유료 배경음악을 무단 삽입
  • 콘텐츠에 광고를 달아 수익도 일부 발생
  • 고소장 없이 경찰이 수사 착수 → 비친고죄 적용 → 벌금형

📌 판단 포인트
반복적 사용 + 영리 목적이라는 점에서 비친고죄로 간주됨


사례 ② 쇼핑몰에서 라이센스 없는 폰트 사용

  • 자사 상품 소개 이미지에 유료 글꼴을 사용한 후 온라인 판매
  • 폰트 제작사는 고소 없이 법무법인 통해 내용증명 발송
  • 경찰은 판매 사실과 고의성을 근거로 수사 개시

📌 판단 포인트
→ ‘광고·홍보 목적’은 명백한 상업적 이용 → 비친고죄 전환 가능


사례 ③ 블로그에 타인의 일러스트 무단 사용 (비영리 블로그)

  • A씨는 개인 블로그에 작가 B씨의 그림을 출처 없이 게시
  • B씨가 고소는 하지 않고 삭제 요청만 함
  • 수사나 처벌 없이 사건 종결 (친고죄 요건 미충족)

📌 판단 포인트
→ 고소가 없고, 비영리 목적 + 초범 + 즉시 삭제 = 처벌 어려움


🧠 그렇다면 어떤 경우에 비친고죄가 될까?

✔️ 영리 목적이 명확할 때

  • 광고가 삽입된 블로그/유튜브
  • 상품 판매와 연결된 이미지·글꼴 사용
  • SNS 마케팅, 브랜드 홍보용 활용

✔️ 상습성 또는 반복성이 있을 때

  • 동일한 방식의 침해가 여러 차례 확인될 경우
  • 타인의 저작물을 여러 게시글·영상에서 반복 사용

✔️ 대량 확산 위험이 있을 때

  • 파일 공유, 스트리밍, 공개 링크 유포 등
  • 불특정 다수에게 콘텐츠를 제공한 경우

💡 이 조건들 중 2개 이상에 해당하면 비친고죄 판단 가능성↑


📌 이런 경우엔 고소가 없어도 처벌될 수 있습니다

  • “그냥 블로그 광고 수익만 있는데요”
    → 광고로 인한 수익 발생은 영리 목적에 해당
  • “저작권자가 별 말 없었어요”
    → 수사기관이 인지하거나 제3자 신고만으로도 수사 개시 가능
  • “고의는 아니었는데요…”
    → 고의 여부보다 행위의 반복성과 수익성이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 정리하자면

  • 저작권 침해는 원칙적으로 친고죄지만
  • 영리 목적, 반복적 침해, 대량 유포 등의 경우
    비친고죄로 수사 및 처벌 가능
  • 실제로 고소 없이도 수사된 사례들이 존재하며,
  • 고소 유무보다 행위의 구조와 반복성, 이익 발생 여부가 핵심 판단 기준입니다

요즘은 누구나 콘텐츠를 만들고 공유하는 시대죠.
하지만 수익이 조금이라도 개입되면,
내가 몰랐던 사이에 비친고죄의 조건에 해당할 수 있어요.

📌 결국 중요한 건 의도가 아닌 구조입니다.
조금이라도 애매하다면 반드시 라이선스를 확인하고,
삭제 요청이 오면 즉시 응하는 태도가 문제를 줄이는 가장 좋은 방법이에요.


 

 

 

 

'저작권' 관련 글 리스트📝

저작권 침해가 아닌 경우-헷갈리는 사례쉽게 정리
저작권, 몰라서 당하는 실수! 꼭 알아야 할 저작권 상식 총정리
저작권법 위반으로 고소당했다면? 합의·조사·처벌 수위까지 정리
저작권법 위반 합의금, 정말 수백만 원까지 내야 할까?
저작권법 위반, 정말 고의로 해야만 처벌될까?
저작권법 위반에도 공소시효가 있을까? 처벌 시효 총정리
고소 없어도 처벌될 수 있나요? 저작권 침해의 ‘비친고죄’ 적용 사례
저작권법 위반, 실제로 어떤 사례가 처벌됐을까?
저작권법 위반, 처벌 수위는? 선고유예와 손해배상 기준까지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