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부동산,세금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는 언제? 조건과 실제 사례 정리

by 하이제이7 2025. 4. 4.

토지거래허가구역은 지정만 되는 게 아니라, 상황에 따라 해제도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해제가 이루어지는 조건, 실제 사례, 그리고 해제 시 생기는 변화까지 쉽게 설명해드립니다.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에 대한 글 썸네일 이미지

📌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란?

토지거래허가구역은 일정 기간 동안만 효력이 유지되며,
지자체(예: 서울시)가 재지정하지 않으면 자동 해제됩니다.

또는 다음과 같은 경우에도 해제 가능합니다:

투기 우려가 사라졌을 때
시장 안정세가 일정 기간 유지됐을 때
정비사업이 일정 수준 진행되어 과열 우려가 줄었을 때


📆 지정기간이 끝나면 무조건 해제되나요?

꼭 그렇진 않습니다.

  • 보통 1년 단위로 지정되며
  • 매년 시장 상황을 판단해
    ‘재지정’ or ‘해제’ 여부를 결정합니다.

예: 2024년 지정 → 2025년 상황 보고 다시 연장할지 해제할지 결정


🔍 해제되면 무엇이 달라지나요?


항목 해제 전 해제 후
거래 절차 허가 필요 일반 매매 가능
계약 시점 허가 후 계약 계약 즉시 가능
실거주 요건 필수 제한 없음
전세 끼고 매수 불가 가능
거래량 감소 추세 증가 가능성 있음

※ 하지만 해제 직후에는 시장 반응이 제한적일 수 있음
→ “언제든 다시 지정될 수 있다”는 불확실성 때문


📍 실제 사례: 서울 강남구 삼성동 해제 사례

  • 2021년 강남구 삼성동 일대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됨
  • 이후 거래량 급감, 실수요자 외 유입 줄어듦
  • 일정 기간 지나며 가격 안정세 유지
  • 2023년 일부 구역 해제됨

해제 후엔 매물 출회 증가, 전세 끼고 매수 시도 등
일시적 거래 활성화 현상이 나타났습니다.


💡 주의: 해제된다고 끝이 아니다!

  • 해제 직후에도 언제든 다시 지정 가능
  • 정부 정책 변화, 시장 불안 조짐만 보여도
    → 다시 허가구역으로 묶일 수 있음

✔ 따라서 단기 투자 접근은 여전히 리스크 있음


✅ 정리하며

토지거래허가구역은 지정처럼 해제도 시장 상황과 정책 판단에 따라 이뤄집니다.
해제되면 실거주 요건, 허가절차 등 규제가 사라지지만
불확실성은 여전히 존재하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이로써 토지거래허가구역 쉽게 이해하기 시리즈 5편까지 마무리되었습니다!
시리즈 목차나 요약 정리도 원하시면 바로 도와드릴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