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부동산,세금

[양도소득세 시리즈⑩] 자주 묻는 Q&A TOP 10 – 헷갈리는 양도세, 한 번에 정리

by High-J 2025. 4. 5.

양도소득세는 상황에 따라 적용 조건이 워낙 다양하다 보니,
많은 분들이 비슷한 질문을 반복해서 하곤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로 자주 묻는 질문 10가지를 정리해
개념부터 실무까지 깔끔하게 정리해드릴게요.

 

이 글은 ‘양도소득세 완전 정복 시리즈’의 마지막 글(⑩번)입니다.
기본 개념부터 절세 전략까지, 전체 시리즈는 아래 링크에서 확인하실 수 있어요.

 

 

 

 


양도세에대한 자주묻는 질문 글에 대한 썸네일 이미지

❓ Q1. 1세대 1주택이면 무조건 비과세인가요?

✅ 아닙니다.
보유 2년 + 실거주 2년 조건을 충족해야 하며,
양도가액 12억 원 이하일 경우에만 전액 비과세입니다.
초과분은 일부 과세 대상입니다.


❓ Q2. 실거주를 했어도 거주 요건이 안 되는 경우는?

✅ 있습니다.
전입신고만 하고 실제 거주를 하지 않은 경우,
국세청에서 거주 인정이 안 될 수 있어 비과세가 거절됩니다.


❓ Q3. 장기보유특별공제는 자동 적용되나요?

✅ 아닙니다.
신고 시 보유기간·거주기간을 입력해야 하며,
조건에 따라 공제율이 달라지기 때문에 직접 확인·신청이 필요합니다.


❓ Q4. 공동명의일 경우 세금도 나눠 내나요?

✅ 네,
지분 비율에 따라 나눠서 계산되고
각자 개별로 양도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 Q5. 분양권도 양도소득세 대상인가요?

✅ 네,
분양권 양도 시에도 양도소득세가 부과되며,
조정대상지역일 경우 중과세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 Q6. 비과세 대상인데도 신고를 꼭 해야 하나요?

✅ 원칙적으로는 신고 의무가 없지만,
국세청이 확인을 요구하거나 검토 대상에 포함될 경우 비과세임을 소명해야 할 수 있습니다.


❓ Q7. 양도세 신고를 놓치면 어떻게 되나요?

✅ 기한을 넘기면 **무신고가산세(10~20%)**가 붙고,
고의 누락으로 판단되면 가중 처벌될 수 있습니다.
**예정 신고기한(3개월 이내)**을 꼭 지켜야 합니다.


❓ Q8. 다주택자라도 중과세 피할 수 있는 방법은?

✅ 조건에 따라 일시적 2주택, 상속주택 제외, 임대주택 등록 등으로
일반세율이 적용될 수 있습니다.
**중과세 유예 기간(2025년까지)**도 활용해보세요.


❓ Q9. 집을 팔고 세금이 너무 많이 나왔어요. 다시 계산할 수 있나요?

수정신고나 경정청구를 통해 가능하지만,
신고 후 5년 이내여야 하며, 정확한 증빙이 필요합니다.


❓ Q10. 세무사에게 신고 대행을 맡기면 수수료는 얼마나 드나요?

✅ 보통 건당 20~40만 원 내외이며,
매매 금액이나 주택 수, 복잡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정리하며

양도소득세는 세법이 자주 바뀌고,
상황에 따라 적용되는 기준도 천차만별입니다.
이번 Q&A로 헷갈렸던 부분들이 한눈에 정리되셨길 바랍니다.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국세청 126번이나 세무전문가 상담을 활용해보세요!

 

 

📘 이 글은 양도소득세 완전 정복 시리즈 중 하나입니다.
👉 전체 시리즈 보러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