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법률정보

저작권법 위반 합의금, 정말 수백만 원까지 내야 할까?

by 하이제이7 2025. 3. 30.

저작권법을 위반했다고 합의금을 요구받았다면, 금액 기준과 협상 요령을 꼭 알아두세요. 과도한 요구에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실전 사례와 법적 근거를 정리했습니다.


📌 “블로그에 이미지 하나 올렸을 뿐인데, 합의금으로 수백만 원을 요구받았어요...”
📌 “유튜브 자막에 쓴 폰트 때문에 법무법인에서 메일이 왔습니다.”

요즘은 단순 실수로도 저작권 분쟁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 중에서도 합의금 문제는 가장 많은 사람이 당황하게 되는 부분이죠.

이번 글에서는 합의금 산정 기준, 과도한 요구에 대한 대응법을 정리해드릴게요.


저작권법위반으로 합의금을 요금받고 당황하는 남성의 이미지

 

💰 합의금, 법적으로 얼마까지 내야 할까?

저작권 침해 시, 손해배상액은 아래 기준을 따릅니다:

  • 저작권법 제125조:
    👉 침해행위로 얻은 이익의 금액
    👉 권리자가 받았을 통상적인 이용료

즉, 합의금은 실제로 손해가 발생한 범위에서
"정당한 사용료 수준"까지만 요구할 수 있는 것이에요.


📌 과도한 합의금 요구, 거절해도 될까?

▶ 예시 ①

  • 유튜버가 유료 서체를 몇 번 무단 사용
  • 법무법인에서 800만 원 손해배상 청구
  • 법원 판결: 70만 원이 적정

▶ 예시 ②

  • 교회가 홈페이지에 작가 그림 13점 무단 사용
  • 청구액: 8,000만 원 → 법원 인정액: 500만 원

단순 게시나 비영리 목적의 사용은
수백만 원대 배상 근거가 인정되지 않습니다.
→ 합의금이 너무 높다고 느껴지면, 감액 요청 또는 합의 거절 후 조사 협조도 방법이에요.


🛠️ 합의 시, 이렇게 대응해보세요

✔️ "이용 목적이 비영리적이었으며, 상업성과 이익이 없었음"을 강조
✔️ 사용된 이미지나 음악이 전체 내용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음을 설명
✔️ 즉시 삭제 조치했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고 전달
✔️ 과도한 금액 요구 시, 업계 평균 가격 제시로 반박

✅ 상대가 법무법인이라도, 대부분 사전 합의를 선호합니다.
조율 가능성이 충분히 있으니 너무 위축되지 마세요.


🚫 절대 하면 안 되는 대응

  • 무시하고 연락 끊기 ❌
  • 감정적으로 항의하기 ❌
  • "이 정도는 다들 쓰던데요?" 식의 정당화 ❌
    → 이런 대응은 협상에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어요.

📌 정리하자면

  • 합의금은 법적으로 정당한 기준이 있습니다.
  • 단순 실수, 비영리 목적, 즉시 삭제 등의 요소는 감경 사유입니다.
  • 법원도 무조건 고액 합의금을 인정하지 않습니다.
    → 상대가 요구하는 금액이 과하다고 느껴지면, 합의 내용 조정도 당연한 권리입니다.

요즘은 누구나 콘텐츠를 만들고 공유하는 시대다 보니,
저작권 침해도 '의도치 않게' 일어나는 경우가 많죠.

📌 중요한 건, 대응을 잘하면 문제 없이 마무리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필요 이상으로 불안해하지 말고, 기준을 알고 현명하게 대응해보세요.


 

 

 

'저작권' 관련 글 리스트📝

저작권 침해가 아닌 경우-헷갈리는 사례쉽게 정리
저작권, 몰라서 당하는 실수! 꼭 알아야 할 저작권 상식 총정리
저작권법 위반으로 고소당했다면? 합의·조사·처벌 수위까지 정리
저작권법 위반 합의금, 정말 수백만 원까지 내야 할까?
저작권법 위반, 정말 고의로 해야만 처벌될까?
저작권법 위반에도 공소시효가 있을까? 처벌 시효 총정리
고소 없어도 처벌될 수 있나요? 저작권 침해의 ‘비친고죄’ 적용 사례
저작권법 위반, 실제로 어떤 사례가 처벌됐을까?
저작권법 위반, 처벌 수위는? 선고유예와 손해배상 기준까지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