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법률정보

증여세 면제한도, 자녀에게 얼마까지 증여해도 세금 없을까?

by 하이제이7 2025. 3. 29.

2025년 기준 증여세 면제한도 총정리! 자녀, 부모, 배우자 간 증여 시 얼마까지 세금 없이 가능할까요? 실전 계산과 주의사항을 안내드립니다.


 

재산을 자녀에게 물려주고 싶은 마음,
부모라면 누구나 있겠죠.

하지만 세금 문제는 현실입니다.
"도대체 얼마까지 증여하면 세금이 안 나올까?"
궁금하셨다면, 지금 정확히 정리해보세요.


아빠에게 용돈을 받는 딸의 모습 일러스트

📌 증여세 면제한도란?

증여세는 무상으로 재산을 받았을 때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하지만 특정 금액 이하는 세금을 부과하지 않는 기준이 있어요.
이를 ‘증여세 면제한도’라고 합니다.


🔹 2025년 기준 증여세 면제한도 총정리


구분 증여세 면제한도
배우자 6억 원
직계존속(부모 → 자녀 등) 5천만 원 (성인 자녀 기준)
미성년 자녀 2천만 원
기타 친족 1천만 원
비친족 500만 원

※ 자녀가 만 19세 이상이면 성인, 미만이면 미성년자로 분류돼요.


🔸 자녀 증여세 면제한도는 어떻게 적용되나요?

✔️ 부모가 성인 자녀에게 재산을 증여할 경우,
5,000만 원까지는 비과세예요.

 

✔️ 미성년 자녀에게 증여하면,
2,000만 원까지만 면제됩니다.

 

✔️ 부모 각각이 증여하면 한도도 각각 적용돼요.
→ 예: 아버지 5천만 원 + 어머니 5천만 원 = 총 1억까지 가능


🧾 예시로 보는 증여세 발생 기준

  • 성인 자녀에게 1억 원을 증여했다면?
    → 1억 - 5천만 원 = 과세 대상 5천만 원
    → 세율 10% 적용 시 약 500만 원의 세금 발생
  •  
  • 미성년 자녀에게 4천만 원 증여 시?
    → 4천만 - 2천만 = 2천만 과세
    → 세금 약 200만 원 전후

💡 자주 묻는 질문 Q&A

Q. 증여세 면제한도는 평생 1회만 적용되나요?
A. 아닙니다. 10년 주기로 새롭게 적용됩니다.

 

Q. 현금으로 줘도 똑같이 세금 내나요?
A. 네, 현금도 ‘재산’이기 때문에 신고 의무가 있습니다.

 

Q. 몰래 주면 안 걸리나요?
A. 금융거래가 추적되며, 국세청 사후검증 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증여 시 주의할 점

  • 5천만 원 넘게 증여했다면 3개월 이내 신고 필수
  • 무신고 시 가산세 최대 40% 부과
  • 자금 출처 소명 필요 (특히 미성년 자녀에게 고액 증여 시)

📎 함께 보면 좋은 글
부부 공동명의 아파트, 증여세 문제 꼭 확인하세요


✅ 정리하며

자녀에게 사랑을 주는 것만큼
경제적인 준비와 책임도 중요하죠.
증여세는 피할 수 없는 현실이지만,
면제한도를 잘 활용하면 충분히 절세가 가능합니다.

미리 알고 대비하면,
세금 걱정도 줄고 마음도 더 편해지겠죠 :)


 

 

 

'증여세'관련 글 리스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