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정보

아동기 초기(7~9세) 아이의 발달 특징과 부모의 말하기 방법

by 하이제이7 2025. 3. 24.

아동기 초기(7~9세) 아이의 발달 특징과 부모의 말하기 방법

"또래가 더 중요해지는 시기, 부모는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요?"

초등학교에 입학하면서 아이는 완전히 새로운 사회에 들어섭니다.
이 시기부터 아이는 규칙, 협동, 역할, 책임을 더 깊이 이해하고,
또래 친구들과의 관계가 점점 더 중요해지기 시작하죠.

“엄마가 아니라 친구랑 놀래요!”
“나만 빠지면 안 돼!”
이런 말이 늘어나는 것도 바로 이 시기의 특징이에요.


선생님과 아이들이 교실에 있는 이미지

🧠 아동기 초기(7~9세)의 주요 발달 특징

✅ 1. 인지 발달

  • 구체적인 사물을 기반으로 논리적 사고 능력이 급격히 발달해요.
  • 규칙 있는 놀이를 즐기고, 원인과 결과를 이해하기 시작합니다.
  • 다른 사람의 입장을 어느 정도 고려할 수 있는 사고도 생겨요.

✅ 2. 언어 발달

  • 어휘와 문장력이 눈에 띄게 증가해요.
  • 의견 표현, 상황 설명, 자신의 주장 펼치기가 자연스러워집니다.
  • 일기나 간단한 글쓰기를 통해 자기 감정 표현도 가능해집니다.

✅ 3. 사회·정서 발달

  • 또래 친구와의 관계가 매우 중요해져요.
  • “친구가 나랑 안 놀면 어쩌지?” 같은 사회적 소속감 욕구가 커집니다.
  • 경쟁심, 질투심도 생기며 자존감이 영향을 받기 시작합니다.

✅ 4. 신체 발달

  • 신체 조절 능력이 향상되고, 운동 기술이 정교해집니다.
  • 구기운동, 줄넘기, 자전거 등 복잡한 움직임도 가능해요.
  • 치아 교환기, 성장통 등 몸의 변화에 대한 민감성이 나타납니다.

🧸 부모가 알아야 할 이 시기의 아이 모습

  • 아이는 이제 자기 능력을 시험해보려는 시기입니다.
  • 잘하고 싶은 마음도 크고,
    실패에 대한 민감한 반응도 함께 옵니다.
  • 또래와의 관계 속에서 자존감이 형성되므로,
    친구 문제로 속상해할 때는 감정 공감이 가장 먼저 필요합니다.
  • “왜 말 안 하고 혼자 참았어?”보다는
    “그랬구나, 속상했겠다”라는 이해와 위로가 우선이에요.

🗣️ 이 시기 아이에게 효과적인 말하기 방법

✔ “잘했어!”보다 “어떻게 했는지 말해줘”

  • 아이: “오늘 시험 잘 봤어!”
  • 부모: “오~ 어떻게 문제 풀었는지 이야기해줄래?”

→ 단순한 칭찬보다 과정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면
성취 동기와 자기 인식이 함께 자랍니다.


✔ 친구 이야기는 판단 없이 듣기

  • “그 친구는 이상한 애네” ❌
  • “그럴 수도 있겠다. 너는 어떻게 느꼈어?” ⭕

→ 아이는 친구 관계를 통해 사회적 기술을 배우고 있으니,
부모는 판단자가 아닌 조력자가 되어주세요.


✔ 감정 이름 붙여주기

  • “슬펐구나, 그럴 땐 누구라도 속상해”
    → 감정을 말로 정리해주는 훈련이
    사회적 공감력과 자기조절력을 길러줍니다.

✔ 책임감을 칭찬해 주세요

  • “스스로 준비물 챙긴 거 멋지다!”
    → 결과보다 행동의 주도성을 인정받을 때
    아이는 책임감을 내면화합니다.

💬 마무리 한마디

7~9세는 아이가
“내가 잘하고 있나?”,
“나는 괜찮은 사람이야?”를 묻는 시기입니다.

이 시기의 아이에게 부모가 해줄 수 있는 최고의 말은
“네가 어떻게 생각했는지, 난 궁금해”입니다.

아이의 마음을 물어봐 주세요.
말해줄 준비가 되어 있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