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법률정보

부부 공동명의, 장단점부터 증여세 문제까지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리

by 하이제이7 2025. 3. 29.

부부 공동명의의 장단점과 아파트 명의 변경 시 증여세 문제까지, 실제 사례와 함께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를 정리해드립니다.


 

집을 살 때,
혹은 부모님이 물려준 재산을 정리할 때
부부 공동명의로 할까, 단독명의로 할까
고민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겉보기엔 신뢰의 표시 같지만,
세금과 법률의 세계에서는 이야기가 달라집니다.


부부공동명의로 집을 사려고 상담을 받는 모습의 이미지

 

🔹 부부 공동명의란?

부부가 아파트 등 부동산의 등기상 소유권을 일정 비율로 나눠 갖는 것을 의미해요.
보통 5:5로 하는 경우가 많지만 9:1, 7:3 등 다양한 비율이 가능하죠.


 

🔸 부부 공동명의의 장점

✔️ 1. 종합부동산세 절세 가능성
→ 1인당 공제금액을 나눠 받을 수 있어 보유세를 줄일 수 있습니다.
→ 특히 고가 주택을 소유할 경우 효과가 큽니다.

 

✔️ 2. 양도세 절세 효과
→ 공동명의자 각각에게 1주택 비과세 요건이 적용될 수 있어
양도세 부담이 줄어들 수 있어요.

 

✔️ 3. 상속·증여 분산 가능
→ 부부 중 한 명이 사망했을 때, 재산의 절반만 상속 대상이 되어
상속세 부담이 줄어듭니다.

 

✔️ 4. 이혼 시 재산분할 협상 기반
→ 명확한 지분이 기록되어 있어 재산 분할 기준이 명확해집니다.


🔸 부부 공동명의의 단점

⚠️ 1. 명의 이전 시 증여세 발생 가능성
→ 자금 출처를 제대로 소명하지 못하면
아파트 부부 공동명의의 증여세’ 문제가 생깁니다.

→ 예: 남편이 전액 마련했는데 아내와 공동명의로 등기하면
아내가 받은 절반은 ‘증여’로 간주되어 세금이 부과될 수 있어요.

 

⚠️ 2. 대출 한도 줄어들 수 있음
→ 부부 각각의 소득으로 DSR이 적용되어
전체 대출 가능 금액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 3. 명확한 지분 관리 필요
→ 공동명의자는 매매·양도 시 반드시 함께 동의해야 하며,
분쟁 시 복잡해질 수 있어요.


📌 실제 사례

“남편 명의로 집을 사려다 세무사의 조언을 듣고
공동명의로 등기했어요.
덕분에 종부세는 줄었지만,
나중에 추가 지분 이동 과정에서 증여세가 나올 뻔했죠.”


 

🔍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 고가 부동산을 보유 중이거나 매각 계획이 있는 경우
  • 배우자에게 일정 지분을 증여할 계획이 있는 경우
  • 절세를 전략적으로 설계하고 싶은 분

📎 추가 팁

  • 부부 공동명의 시 자금 출처 소명 철저히 준비
  • 미리 세무 전문가 상담 권장
  • 공동명의로 변경할 경우 증여세 면제 한도 고려
    → [증여세 면제한도 관련 글 보기]

✅ 정리하며

부부 공동명의는 단순한 명의 문제가 아닙니다.
세금, 상속, 증여, 재산 분할까지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결정이에요.

서로를 위한 선택이지만,
현실적인 문제까지 충분히 고려해
지혜로운 판단을 하시길 바랍니다.

결국 중요한 건,
서로의 신뢰와 함께 재산에 대한 현실적 감각이겠죠.


 

 

 

 

'증여세'관련 글 리스트 📝